이용불편신고 및 개선의견은
간편인증이나 로그인 후 이용이 가능합니다.
간편인증이나 로그인을 하시겠습니까?
사용자가 폐업신고도 하지 않고 채권자에 쫓겨 행방이 묘연한 경우 사용자의 신청 없이 가입자의 요청만으로 지급할 수 있는지, 사용자가 사실상 폐업상태인 것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?
사용자가 세무서에 폐업신고를 한 경우 원천징수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데 문제는 없는지 ? DB 경우 일처리 절차 및 관련 서류는
귀하의 질의내용만으로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알수 없어 명확한 답변이 어려우나, 「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시행령」 제15조 (자산관리업무 수행계약의 형태) 제1호 및 제2호에 따라 가입한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가입자의 청구에 따라 당해 근로자의 퇴직급여를 지급하여야 할 것임.
그러나, 귀하의 질의내용에서와 같이 사업자의 폐업등을 사업주로부터 퇴직 사실 확인이 어려울 경우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확인하고 처리하여야 할 것임.
<사업장의 도산 등으로 사업주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퇴직사실 판단기준 및 지급방법> * 퇴직사실 판단기준 1. 당해 사업자의 폐업사실 확인서(세무서 발행) 2. 청구 근로자(가입자)의 사회보험제도에서의 자격상실 확인서류 (고용보험 자격상실 서류의 상실코드 참조 등) 3. 청구 근로자(가입자)가 다른 회사에 취업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(고용보험 자격취득사실 확인, 재직증명서 등) 4. 위의 세가지 경우로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근로자에게 퇴직확인서를 징구하고, 사업장에 유선으로 통화시도 또는 인사담당 및 다른 근로자에게 통화하는 등 사실확인 후 처리 * 지급방법 1. 확정급여형의 경우 ‒ 당해 사업장으로부터 받은 최종자료를 토대로 적립비율만큼 근로자에게 지급(지급되는 금액에 대해서 원천징수) ‒ 근로자에게 지급된 내역을 사업장에 통보 2. 확정기여형의 경우 ‒ 당해 근로자의 적립금을 지급(지급되는 금액에 대해서 원천징수) ‒ 이때 미지급된 부담금이 있을 경우 이를 근로자에게 통보 |
귀하의 질의내용에서의 폐업 사업장에 대한 원천징수 가능여부, 이에 따른 처리절차 및 관련서류에 대해서는 세무행정을 담당하는 부처로 문의하여야 함을 알려드림.
고용노동부 노동포털 회원에게 무차별적으로 보내지는
메일을 차단하기 위해 본 웹사이트는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
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
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, 이를 위반 시
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 연락처 안내 (평일) 09:00 ~ 18:00
고용노동분야 전화상담 |
|
국번없이 1350 (유료,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) |
---|---|---|
나의 민원 |
|
국번없이 1350 (ARS연결 후 2번) |
국민신문고 |
|
1600-8172 (국민신문고 시스템문의) |
한국고용정보원 |
|
1577-7114 (한국고용정보원 시스템 문의) |
키보드 보안솔루션 오류 |
|
02-561-4545 (라온시큐어) |
공동 인증서 |
|
02-2233-5533 (드림시큐리티) |
전산장애 문의 |
|
02-6347-3900 |
1350 전화시스템 문의 |
|
052-702-5016 |
고용노동부 노동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이용조건 및 절차, 이용자와 당 사이트의 권리, 의무 책임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합니다.
본 약관은 고용노동부 노동포털 사이트 (이하 "당 사이트")가 제공하는 회원서비스(이하 "서비스")를 이용함에 있어 이용자와 당 사이트간의 권리·의무 및 책임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.